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부동산 규제 지도 비교: 문재인 정부 vs 10·15 대책(2025) + 부산(해운대·수영·남구) 실거래 흐름

by 두루두루맨 2025. 10. 16.
반응형

문재인 정부 시기의 부동산 규제 지도(2020년 말 기준)와 2025년 10·15 대책 이후 규제 지도를 한눈에 비교하고, 부산(해운대·수영·남구)의 실거래가/가격지수 흐름을 공식 통계로 확인합니다.

 

1) 과거 규제 지도 (문재인 정부, 2020.12.18 기준)

2020년 12월 18일 당시, 정부는 부산 9곳·대구 7곳·광주 5곳·울산 2곳 등 총 36곳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신규 지정하고, 창원 의창구는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했습니다. 당시 지방 광역시·주요 도시로 규제가 확대되며 풍선효과를 제어하려는 기조가 강화됐습니다.

2) 현재 규제 지도 (2025.10.15 대책)

2025년 10월 15일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핵심은 서울 전역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한 점입니다. 규제 범위가 수도권 중심으로 넓게 덮이며 전형적 풍선효과의 출구를 좁히려는 성격이 강합니다.

3) 부산(해운대·수영·남구) 실거래가/가격지수 비교

📊 공식 통계 대시보드(클릭 시 새 창)
한국부동산원 R-ONE 통계시스템: 지역별 매매지수/실거래 지표
KB부동산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시계열·지역선택)
(메뉴에서 ‘부산광역시 → 해운대구/수영구/남구’를 선택해 2019~2025년 시계열을 비교하세요.)
  • 문재인 정부(2020~2021) 규제기: 지방 광역시(부산) 다수 구역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로 묶이며 단기 급등세를 제어. 해운대·수영 등은 규제 전후로 변동성이 컸고, 이후 약세 전환·조정 구간을 길게 거침. (근거 보도)
  • 10·15(2025) 규제기: 수도권 규제 강화로 지방 선호지역(해운대·수영·남구)로의 대체 수요가 일부 유입되며 하락세가 멈추거나 완만한 반등 조짐. 한국부동산원 주간 통계 기준으로 2025년 9월 부산은 하락 멈춤 보도, 동부산(해·수·남) 견인. (KNN 보도)

4) 핵심 인사이트

  • 과거(2020~2021)는 지방 광역시까지 규제 확산으로 단기 과열을 식히는 전략이었고, 이후 조정 기간이 길어짐.
  • 현재(2025.10.15)는 수도권 규제의 광범위화가 핵심 → 전형적 풍선효과 경로 일부 차단. 다만 비규제 지방 중 입지·브랜드·수요가 강한 곳(해운대·수영·남구)은 반등 선행 신호.
  • 실거래가·지수는 공식 대시보드에서 구/동 단위로 최신값을 확인하는 것이 정확. (통계는 주·월·분기별 갱신)
반응형